치공구 관리
1. 치공구의 방청 방법
(1) 방청유의 사용 : 생산 제품이 대형이거나 복잡한 형상일 때 적합하다.
방청유의 종류는 사용 빈도에 따라 결정한다.
(2) 도금 : 소형의 제품으로 사용 중 유류 사용을 금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3) 표면 산화처리 : 대형의 제품으로 사용 중 유류 사용을 금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4) 도장 : 정밀도에 영향이 업으며 직접 생산제품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적합하다.
(조립, 분해, 용기류 등)
2. 지그와 고정구
지그란 공구를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여 가공될 수 있도록 공구의 위치결정이 주목적으로 드릴링이나 리이밍 또는 보링 작업을 위한 기구가 주로 지그에 속하고, 고정구란 공작물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주목적인 기구를 말한다.
고정구는 사용되는 공작기계에 따라 선반고정구, 밀링고정구, 연삭고정구, 용접고정구 등으로 분류한다.
3. 모듈러 공구 세트(Modular Tolling Set)
생산 제품의 모델이 매우 빠르게 변하는(다품종 소량생산)의 시장동향에 적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G.T(Group Technology)시스템이 있다. 정해진 형태의 제품을 고정하기 보다는 정해지지 않은 다양한 제품을 각각의 형태에 맞추어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시스템이다.
4. 치공구의 표준화로 얻을 수 있는 효과
(1) 비용 절감 효과
(2) 납기 단축 효과
(3) 품질 향상 효과
(4) 기능 향상 효과
5. 밀링 치공구 재료의 열처리에서 금속 침투 확산법의 종류
(1)세라다이징 : 금속 표면에 아연(Zn)을 침투 확산시키는 방법
(2)칼로라이징 : 금속의 표면에 알루미늄(Al)을 침투 확산시키는 방법
(3)크로마이징 : 금속의 표면에 크롬(Cr)을 침투 확산시키는 방법
(4)실리코나이징 : 금속의 표면에 규소(Si)를 침투 확산시키는 방법
(5)보로나이징 : 금속의 표면에 붕소(B)를 침투 확산시키는 방법
6. 밀링 치공구에서 공작물 관리란
- 공작물이 가공이나 기타 공정중에 공작물의 변위량이 공차 범위 내에서 관리되도록 공작물을 제어하는 것.
- 공작물 관리에서 중요한 관리요소는
(1)형상관리 : 공작물이 치공구내에서 안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
(2)기계적 관리 : 공작물이 가공 시 발생하는 외력에 대하여 공작물의 변형 및 치수 변화가 없도록 관리
(3)치수 관리 : 공차누적의 발생과 공작물의 변위량이 치수공차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
(4)중심선 관리 : 가공된 공작물의 외경이 조금씩 변하더라도 공작물 중심선의 변화를 최소화 하도록 관리
7. 밀링 치공구에서 플프로핑이란
플프로핑이란 방오법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비대칭의 부품을 치공구에 장착할 때 작업자의 착오로 인하여 잘못 장착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올바른 장착위치를 쉽게 찾아내어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장치를 말한다.
8. 치공구에서 스케치란
- 어떠한 부품을 제작하거나 파손된 부품을 교체할 때, 또는 현재의 부품을 개선된 부품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자 또는 컴퍼스를 사용하지 않고 프리핸드로 그리는 것
- 스캐치 방법
(1)프리핸드 법 :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척도에 관계없이 적당한 크기로 스케치 후 치수를 기입
(2)프린트 법 : 부품이 평면으로 가공되어 있으며, 윤곽이 복잡한 부품의 경우에는 부품의 면에 광명단을 바르고 스케치 용지에 찍어 실물의 형상을 얻는 직접적인 방법과 부품을 용지에 대고 연필 등으로 문질러 형상을 얻는 간접적인 방법이 있다.
(3)본뜨기 법 : 불규칙한 곡선부분이 있는 부품의 경우에는 용지에 대고 직접 연필 등으로 본뜨는 직접 본뜨기와 납선이나 구리선 등으로 부품의 윤곽에 대고 구부린 다음 그 윤곽곡선을 용지에 대고 본뜨는 간접적인 방법이 있다.
(4)사진촬영 법 : 구조가 복잡한 기계의 조립상태나 부품의 형상을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여러 방향에서 사진을 찍어두면 부품을 스케치하거나 조립 할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9.치공구 보관의 기본 원칙
(1)치공구 보관실을 따로 두어 관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치공구는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된 치공구함에 보관한다.
(3)밀폐된 서랍이나 상자 속에 보관하지 않고 밖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보관한다.
(4)치공구의 사용 용도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5)치공구는 정밀도 유지를 위하여 항상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6)현장에서 사용하는 치공구는 항상 정비하여 정 위치에 두도록 한다.
(7)공정별 전용공구는 쉽게 알 수 있도록 명패나 공구걸이를 활용한다.
(8)생산지원을 총괄할 수 있는 곳의 치공구 관리 담당자가 관리한다.